분노의 질주를 즐기는 방법: 

이성을 내려놓고 본능에 따르라. 왜라던가 어떻게 따위의 질문은 하지 말아라. 5초 전과 5초 후를 생각하지 말고 그 순간 눈에 보이는 것을 즐겨라.


그리고 오글 거리는 마초 멘트에는 귀를 막아라.



R.I.P 폴 워커

어느 일요일 아침. MBC에서 방영하는 '서프라이즈'에서 귀 익은 음악이 배경으로 나온다. 왠지 다락방 깊숙한 곳에 먼지가 캐캐하게 쌓여있는 상자를 꺼내 입으로 훅 불고 여는 기분이 든다. 눅눅한 곰팡이 냄새. 세월이 쌓여 빛이 바랜 물건들. 그것들을 봐라보게 하는 음악. 원스 어펀 어 타임 인 아메리카의 주제곡이다.

그 날 운전을 하면서 귀에서 계속 맴도는 그 음악을 유튜브로 찾아 반복하여 들어 본다. 그리고 내 인생에서 딱 하나의 영화가 있다면 아무래도 이것이겠구나 싶다.

'원스 어펀 어 타임 인 아메리카'

스무 살 즈음이었을 것이다. 당시 라디오 방송 '조일수의 FM 영화 음악'을 곧잘 들었는데, 거기에서 소개한 영화를 좋아했다. 이 영화를 포함하여 스탠 바이 미(감독: 롭 라이너), 버디(감독: 알란 파커), 택시 드라이버 (감독: 마틴 스콜세지) 같은 것이 기억난다.

'원스 어펀...'은 최초 8시간 짜리였는데 처음 상영할 때 4시간으로 편집되었고, 중간에 쉬는 시간이 있었다는 얘기. 그리고 국내에는 2시간 짜리가 되었다는 등의 얘기를 그 방송을 통해 알게 된다.  (자세한 설명은 이곳을 참조 )

영화는 비디오로 보았다. 설레는 마음으로 빌려온 비디오를 플레이어에 넣고 자리에 앉았다. 기대로 부풀었다. 하지만 당혹스럽게도 20분이 못되어 꾸벅 꾸벅 졸 수 밖에 없었다. 다음 날에도 보려고 하지만 역시 졸음을 참을 수 없었다. 테이프를 반환해야 하는 다음 날. 마지막이라며 굳은 마음으로 다시 시작했고, 끝까지 보는데 성공한다.

그렇게 본 영화. 마지막 엔딩 크래딧이 올라갈 때 나는 인정할 수 밖에 없었다. 아, 이건 내 인생에 있어 절대로 잊을 수 없는 영화가 되겠구나. 이래서 조일수씨가 그토록 호평을 했구나.


얼마 뒤 친구가 놀러왔을 때 '닥치고 넌 이 영화를 꼭 봐야해'하며 다시 비디오 테잎을 빌렸다. 졸고 있는 친구의 뺨을 때리며 강제로 보게 했으나 역부족이었다. 그날 밤도 혼자 밤을 세워 보았다.

세월이 흘렀고, 영화를 쉽게 다운로드하여 볼 수 있는 디지털 시대가 되었다. 당연히 이 영화를 받아 본다. 그리고 여전히 8시간 짜리 원판을 보고 싶다는 소망을 마음 한곳에 세워둔다.

'서프라이즈'를 통해 열려진 추억 상자는 나에게 인터넷을 검색하게 했다. 패션 브랜드 '구찌'에서 디지털로 복원했다는 뉴스를 보았고, 얼마 뒤 CGV에서 감독 확장판을 개봉한다는 소식도 듣는다. 고맙게도 이 영화를 극장 스크린에서 보게 될 기회를 갖게 된 셈이다.

흔히들 이 영화를 느와르라거나 갱스터 영화라고 하는데 동의할 수 없다. 전쟁 장면이 있다고 해서 벤허를 전쟁 영화로 구분하지 않듯이 이 영화는 인간의 인생을 담은 휴먼 드라마로 기억한다.

스무 살의 나는 이 영화를 보고 세세한 것 보다 영화가 주는 어떤 거대한 느낌을 받은 듯 하다. 첫 사랑이 깊게 새겨진 유년과 화려한 젊음 그리고 늙어서의 회한, 돌아갈 수 없는 시절에 대한 그리움. 이런 것들.

'더이상은 힘들다' 버전인 이번 감독 확장판(251분짜리)을 보니 아이러니 하게도 과거에 갖지 않았던 의문이 많아진다. 쓸데없을 수 있겠지만.

- 맥스는 정말 자살했는가
- 누들스와 맥스에게 수영은 무슨 의미인가
- 맥스가 구두를 닦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 어째서 금주법 장례식 장면이 두 번 나오는가
- 맥스가 필요하다는 1000만불, 2000만불은 무엇을 위한 돈인가
- 맥스는 100만불로 무엇을 했는가
- 프랭키(조 패시)가 누들스를 지나치는 장면은 무엇 때문인가
- 창고에서 데보라는 옆 자리를 비웠는데 누들스는 왜 앞에 앉는가
- 그리고 누들스는 데보라를 끝내 겁탈한 것인가, 미수로 그친 것인가

요즘 친구들이나 회사 동료들에게 기회가 있을 때 마다 인생의 영화가 무엇이냐고 묻곤 한다. 다들 각자의 이유로 영화를 말한다. 이 영화가 내 인생의 영화가 된 이유는 아마도 이런 요소들 때문이 아닐까.

   "이루어지지 못한 첫 사랑, 목숨 바칠 만큼 진한 우정의 친구, 돌이켜보는 어린 시절, 성공과 실패, 배신, 덧 없는 인생, 망각 속에 잊혀진 시간같은 이해할 수 없는 몇 개의 장면... 그리고 심장을 후비는 음악.

그리고 꼭 스무 살에 본 영화 일 것."

혹자는 이 영화를 '대부'와 비교하곤 하는데 쓸모없는 짓이다. 전혀 다른 종류의 영화라고 본다. 어쨌든 세월히 흐르면 대부는 잊혀져도 이 영화는 영원히 남을 것이다. 적어도 나에게는.

 


<평일 늦게 CGV 왕십리에서 이 영화를 본다. 마지막 크레딧까지 나는 일어나지 못한다.>

 

 

원래 원작이 그렇다고는 하는데 X맨과 구분이 없어졌다. 이러다가 마니아(라 쓰고 덕후라고 읽는다)만 즐기는 컬트가 되는 것 아닌가 싶다. 마블 영화를 계속 봐줘야 하는지 회의도 든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인터스텔라'에서의 황홀한 얼음 행성. 사진 출처: movie.daum.net>

 

역대 최고의 수작, 최고의 걸작, 내 인생 최고의 영화라는 호평을 보면서 아무리 좋게 봐도 그 정도는 아닌 것 같다는 생각에 굳이 안 해도 될 글을 좀 써본다. 아는 것만큼 보인다고 하는데 내가 어쩌면 모르는 것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예를 들어 '그래비티'를 볼 때 나는 어설프게 동양 철학을 공부하고 있어서 괜히 노자나 불교를 떠올렸는데 어쩌면 난 인터스텔라를 보면서 대입할 아무것도 모르고 있을 수도 있겠다. 그럼에도 써본다. 순전히 그정도는 아니잖아? 라는 입장으로.

인터스텔라를 보면서 두 영화가 떠올랐다. 하나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이고, 다른 하나는 '로스트 인 스페이스'다. 만약 이 두 영화를 보지 않은 사람이라면 인터스텔라가 새롭게 느껴지겠지만 이 두 개를 떠올린 나는 조금 김이 샌 상태로 볼 수 밖에 없었다.

 


<SF영화의 바이블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1968) 사진출처: movie.daum.net>

 

작가 김연수의 최신 산문인 '소설가의 일'에 이런 말이 있다. 귀찮은 친구가 자신이 쓴 소설을 읽어 달라 했을 때 다 읽은 것처럼 말하려면 "네 소설은 개연성이 있지만 핍진성이 없어"라고 말하면 된다고. 그런데 인터스텔라는 개연성도 떨어지고 핍진성도 없다. (핍진성은 사전에는 없으나 문학 등에 사용하는 용어로 거짓을 사실로 믿게 만드는 것 정도로 정의한다.)

이 영화는 많은 SF 영화에 영향을 끼쳤으나 너무나 사색적이라 졸린 눈을 비비며 봐야 하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도 아니고 그렇다고 '로스트 인 스페이스'처럼 가볍고 유쾌하고 반전이 흥미 있는 것도 아닌 그 중간 어딘가에 있다. 내가 영화 보는 수준이 깊지 않아서 겨우 두 영화만 떠올렸을 뿐. 우주로 떠나 시공간이 뒤틀어지고 미래가 현재로 이어지는 내용은 여러 영화에 나오지 않았을까 의심할 만큼 이제는 조금 진부해진 스토리다. 그렇다면 그 얘기를 어떻게 할 것인가가 남는데 그래서 개연성과 핍진성이 중요해진다.

 


<우주 탐험 SF 영화의 모든 장르가 짬뽕되서 다소 산만한 스티븐 홉킨스 감독의 '로스트 인 스페이스'(1998)>

 

아무것도 안 하면 되는 영화 (스포 있음)

영화를 떠올려보자. 주인공은 우주로의 관심을 거두고 지구만이 우리의 관심이라는 그래서 엔지니어보다 농부가 필요하고, MRI가 없어 아내는 의료 혜택도 못 받고 죽는 시대를 살고 있다. 그러다 '유령(알 수 없는 힘)'의 안내로 없어진 줄 알았던 NASA --비밀리에 우주 식민지를 찾고 있는-- 에 간다. 그리고 지구를 구하기 위해 우주로 간다. 이때 '유령'은 떠나지 말라는 메시지를 보낸다. 이미 이즈음에서 그 '유령'의 존재는 눈치채게 마련이다. 주인공 아니면 딸이다. 그리고 '유령'은 혼자가 아닐 수 있다. 그래서 어떤 '유령'은 우주여행을 하도록 하고, 무슨 사고가 있는지 다른 '유령'은 가지 말라고 한다. 그런데 허무하게도 그런 게 아니었다. 가게 하는 것도, 가지 말라고 하는 것도 같은 사람이다. 가지 않게 하려면 아무 짓도 안 하면 될 일이다. 더구나 오랫동안 보지 못한 딸을 만나 급하게 건내려는 메시지가 겨우 NASA의 좌표라니.


플랜A인가 플랜B인가? (스포 있음)

'유레카'이후에 과학은 급속히 발전되었나보다. 삭막한 지구를 버리고 인류는 우주정거장에서 산다. 엔지니어보다 농부를 키우려던 인류에게 놀라운 발전이 아닐 수 없다. 인류를 구원할 계획이었던 플랜A와 플랜B는 아무도 거론하지 않는다. 다들 우주전거장에서 행복한 듯 보인다. 주인공은 구조되어 늙어 죽어가는 딸과 재회한다. 그리고 곧 우주선 하나 훔쳐서 누군가에게 달려 간다. 그 누군가는 인류에게 잊혀져 오로지 주인공만 만나러 가야 하는 것인가 보다.


평점이 낮아도 볼 영화

어려서부터 영화를 보면 평점(A~F)을 주곤 하는데 이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곰곰이 생각하다 'D'라는 무지막지한 점수를 주었다. 영화에 점수를 주는 것은 무의미할 수 있겠지만. 그래도 굳이 등급을 나눈다면 친구에게 '꼭 봐라'이거나 '봐도 그만 안봐도 그만'이거나 '보지 마'정도일 것인데, 난 친구에게 '봐도 그만 안봐도 그만'을 말해주련다. 뭐 내가 영화를 보는 관점이 그다지 대단하지 않겠지만 말이다. 그렇다고 해서 형편없었다는 건 아니다. 아무래도 감독이 크리스토퍼 놀란이기 때문에 너무 기대한 것이 잘못이라면 잘못일 것이다. 3시간 가깝게 영화를 보면서 지루하진 않았으니까.(그런데 그게 화면의 힘이지 이야기의 힘은 아닌 듯) 우주를 탐험하는 영화 자체를 좋아하기 때문에 그랬거나 저랬거나 나는 영등포 스타리움관에서 이 영화를 보았을 것이다.

 

 

 

 

 

 

"결혼은 미친 짓이다"
 

그녀가 왜 사진을 찍고, 앨범을 만들었는지 나는 이해하지 못한다. 다만, 내가 생각하지 못한 부분을 이 영화에서 발견한다.

 

"사랑하면 침묵해야 한다. 차가운 사랑만이 상대를 옆에 있게 한다."


한 순간에 타버릴 것인가, 아니면 오랜 시간 차갑게 달궈질 것인가.

사랑하는 사람이 생기면 언젠가 헤어질 거라는 불안에 떨게 되고, 결국 그 강박 때문에 헤어지게 된다는 말이 있다. 비행사가 추락에 대한 공포를 벗어나기 위해서 정말로 자신의 비행기를 추락시킨다는 것 처럼.

"헤어지기 싫다면 사랑하지 말아라. 사랑이 깊어지면 버림 받을 것이란 두려움이 짙어진다."

 

남자가 쓰는 소설과 영화에서 흔히 남자 주인공은 여자에 대해 절박하지 않다.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아도 대화는 오고 가고, SEX도 할 수 있다. 그렇게 시작된 둘의 관계...

 

 

즐거운 여행도 있고...

 

 

같은 곳을 바라보는 정신적 교류도 있다.

 

 

설거지를 하거나 음식을 하는 모습은 너무나 사랑스러워 안지 않을 수 없다.

 

 

그렇지만 "둘이 함께 하는 시간"은 점점 자신의 자아를 죽이고 있다는 불안이 쌓이게 되고, 결국 콩나물밥과 같은 사소한 문제로 다투게 마련이다.

이것은 사소한 것이고 그래서 쉽게 해결할 수 있다는 자각이 없다면 "이런 문제로 헤어지게 되는 구나"라는 판단을 스스로에게 한다.

(이 문제를 극복하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둘 관계는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겠지.)

 

 

안타까운 것은 한쪽의 노력 만으로 관계는 지속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즐거웠던 추억은 사진으로만 남는다.

 

 

남자 주인공의 나레이션처럼 사진 속에 그녀는 행복하기만 하다.

그래서 사진을 갖고 있는 사람은 쉽게 버리지 못한다. 행복한 추억을 지우기란 쉽지 않으니까. 남겨진 사진은 버려진 사람에게 더욱 가혹한 벌이다.

영화에서 여자가 남자에게 남긴 사진 앨범은 그것을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내가 당신에게 독약이어도 나를 포기하지 마세요."

 

2005.5.5


 

 

♬ 면도 (Ending Title) - 김준석 (결혼은 미친짓이다 OST)

 

'선물' OST 를 들으며...


갑자기 영화 '선물'이 떠오릅니다.
그래서 Hard Disk 에 있는 OST 를 틀어봅니다.
Winamp 가 실행됩니다.

바보 같은 남편(이정재)을 둔 부인(이영애)...
죽어가면서도 남편을 바라보던 그 부인의 표정이 떠오릅니다.
네이버 영화 검색에서 사진을 찾아봅니다.

영화볼 때 도 무척 많이 울었는데
괜히 처량한 기분이 들어서 인지.. 음악에 심취했는지 가슴이 뻐근합니다.

 

 

내 모습 같습니다. 보세요. 얼마나 바보같습니까. 제대로 하는 일도 없고, 실패 투성이에 게으르기 그지 없습니다.

 

 

그런 나를 보면서 그녀는 가끔 힘을 주기도 합니다. 이렇게 포근한 눈으로 바라보기도 합니다. 얼마나 사랑스럽습니까. 그 눈을 보면 넘치는 사랑을 주체하기 어렵습니다.

 

 

흐트러진 나를 다듬어 주면서 활짝 웃어주기도 합니다. 내 인생의 목표는 그녀의 미소라고 생각하곤 합니다. 나는 그녀 품에서 행복합니다.

 

 

하지만 그녀는 조금 더 희망적인 삶을 원하고 있습니다. 한 그루 나무를 심듯이 우리의 관계도 열매를 맺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나는 단지 바보같은 분장을 한 광대에 지나지 않습니다.

 

 

결국 그녀는 더이상 참을 수 없다는 표정을 짓습니다. 그리고 결심합니다. 나는 돌이킬 수 없다는 것을 쓰리게 알게 됩니다.

 

 

하지만 나는 기억합니다. 그녀를 품에 안고 있었던 그 포근했던 시간을...
여기까지 글을 쓰는 데 아는 형으로 부터 메신저로 연락이 옵니다.
"요즘은 어떠냐?" 라는 질문입니다. "그냥 그래" 라고 대답합니다.
아직 주변에는 내가 자랑하던 그녀와 헤어졌다는 얘기를 하지 못합니다.

 

 

거대한 감옥처럼 굳게 다문 입술의 그녀 모습이 떠오르고, 나는 오늘도 바보같이 살고 있습니다.

 

 

시간은 잘도 갑니다. 그녀와 만난 날을 하루 하루 세었던 것 처럼 헤어진 날도 가끔 세어봅니다. 그러다가 모든 것은 시간이라는 모래에 덮히고 다른 공간이라는 이유로 각자 기억하는 순간도 달라지겠지요. 각자의 시간은 그렇게 다른 가치를 갖게 되겠지요.

나에게 그녀는 저렇게 눈이 시리도록 아름다운 미소로..  추억 속에 가득 남아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 도 일이 손에 잡히지 않습니다.

2005.5.2


 
선물 - 류 (영화 선물 ost) 


나였나요 오래전부터
혼자 사랑한
그대 표정 몰라 아픔주던
그 사람이 나였죠

왜 힘겨운 미소에
마음을 놓았는지
나는 멀리서 그대
뒷모습만 본거죠

나 그대가
남긴 기억에 웃고 울어
다시 살 수 있는
선물만 준 그대
이젠 없는거죠

사랑해요
그대 혼자 나를 알던
그때부터 모두
 

 

감독: Rob Reiner
주연: Wil Wheaton, River Phoenix, Corey Feldman, Jerry O'Connell

별점: ★5

 

몸이 좋지 않아 회사에 못 갔다. 컴퓨터 앞에서 이런저런 일을 하고, 파일들을 정리하다가 이 음악을 듣는다. 그리고 영화를 생각한다.

이 음악을 듣거나, 이 영화를 생각하면 밤늦게 반복해서 봤던 스무 살 즈음의 내 모습이 떠오른다. 모두 잠든 시간에 불을 끄고 방에서 혼자 영화를 보았는데 마지막 자막과 함께 흘러나온 음악을 들으며 비디오를 껐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알 수 없는 느낌을 간직하며 눈을 감았던 기억도 난다.

네 명의 소년이 기차에 치여 죽었다는 한 소년의 시체를 찾아 떠나는 얘기. 시간상으로 1박 2일에 해당되는 아주 짧은 얘기. 큰 사건도 없는 그저 그런 스토리. 하지만 영화를 보면서 우리는 무엇을 느껴야 하고, 또 살아가면서 우리는 무엇을 생각해야 하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준다.

간혹 전문가의 평론을 읽고서야 아 그렇구나라며 이해는 하지만 전혀 감동을 주지 않는 영화들을 보면서 그리고 그것을 신봉하는 매니아들을 보면 뭐가 그렇게 복잡하냐고 말해주며 이것이 영화다라고 들이밀고 싶은 영화... 이 영화가 바로 그런 영화이다.

 
<우리는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른 채 살고 있다.
그것은 두려움일 수도, 호기심일 수도, 설렘일 수도 있다.
하지만 모든 것을 겪고 나면 이 영화에서 그런 것처럼
지나온 길들이 작게만 느껴지겠지>


<싸구려 빗이지만 나름의 의미가 있는 빗을 떨어드리자
주인공은 말한다. "잊어 버려">


 
 





Stand By Me - Ben E. King

번역 : rushcrow.com


When the night has come
And the land is dark
And the moon is the only light we see
No I won't be afraid
No I won't be afraid
Just as long as you stand, stand by me

밤이 오고
땅은 어두워지고
달 만이 우리가 볼 수 있는 빛이에요
나는 두렵지 않아요
그래요, 나는 두렵지 않아요
다만 당신이 곁에 있다면, 내 곁에 있어주세요

And darling, darling stand by me
Oh, now, now, stand by me
Stand by me, stand by me

달링, 달링 내 곁에 있어주세요
오, 지금, 지금 내 곁에 있어주세요
내 곁에, 내 곁에 있어주세요

If the sky that we look upon
Should tumble and fall
And the mountain should crumble to the sea
I won't cry, I won't cry
No I won't shed a tear
Just as long as you stand, stand by me

우리가 보는 하늘이
무너져 떨어지고
산이 바다로 무너져도
나는 울지 않아요, 울지 않아요
그래요 나는 눈물을 흘리지 않아요
다만 당신이 곁에 있다면, 내 곁에 있어주세요

And darling, darling stand by me
Oh, stand by me
Stand by me, stand by me, stand by me

달링, 달링 내 곁에 있어주세요
내 곁에 있어주세요
내 곁에, 내 곁에, 내 곁에 있어주세요

Whenever you're in trouble
won't you stand by me
Oh, now, now, stand by me
Oh, stand by me, stand by me, stand by me

언제든이 당신에게 걱정이 생긴다면
내 곁에 있지 않겠어요?
오, 지금, 지금, 내 곁에 있어주세요
오, 내 곁에, 내 곁에, 내 곁에 있어주세요

Darling, darling stand by me
Stand by me
Oh stand by me, stand by me, stand by me

달링, 달링 내 곁에 있어주세요
내 곁에 있어주세요
내 곁에, 내 곁에, 내 곁에 있어주세요

 

+ Recent posts